내용 |
"성희롱은 성에 관한 문화적 이해의 차이보다는 권력에 관한 것이며 여성을 여성의 자리에 잡아두기 위한 방식이라는 주장이 있어 관심을 끌고 있다. 「남녀고용평등을 위한 교수모임」에서는 ‘직장내 성희롱, 어떻게 볼 것인가?’란 주제로 9일 오전10시 프레스 센터에서 남녀고용평등을 위한 토론회를 가졌다.
‘성희롱, 왜 권력의 문제인가’란 주제로 발표를 한 심영희(한양대 사회학 교수)씨는 “성희롱은 남성이 여성을 취약하게 만드는 한 방식으로 여성이 새로 진출했거나 여성이 소수인 직업과 작업장에서 가장 빈번하게 일어난다”고 말했다. 1989년 공장에서 일하는 여성 100명에 대한 Nancy Baker의 연구(Goleman, Daniel ""Sexual Harassment: It's About Power, not Lust"", New York Times, Oct. 22, 1991)에 의하면 전통적으로 여성이 보유하던 직업이 아닌 기계기능공인 여성들과 여성수가 많은 조립라인에서 일하는 여성들을 비교했을 때 전자가 후자보다 훨씬 더 많이 희롱을 당했다고 보고했다. 여성에게 비전통일수록 성희롱을 그 만큼 더 당한다는 것이다.
이를 뒷받침하는 사회적 새도매저키즘 이론은 모든 인간이 타인으로부터 인정받고 싶어하는 욕구가 있다고 가정하고 이것은 일상생활에서 권력을 추구하는 형태로 나타난다고 한다. 이것은 권력과 무 권력의 관계, 지배와 종속의 관계가 있다는 사실에서 출발한다.
관료주의적 자본주의 사회에서 많은 사람들은 권력과 무 권력의 사이에서 상사들에게 인정을 받으려는 욕구가 매조키스트가 되고 자신보다 하위직에 있는 사람에게는 새디스트가 된다는 것이다. 한국여성민우회가 사무직 여성에 대한 조사에 따르면 성희롱을 한 사람은 직속상사가 38.9%, 동료남자직원이 37.7%, 타부서 상사가 13.7%로 나타났다. 현장에서는 대부분 사무직 여성들의 경우 남자 동료라 하더라도 남자직원의 말단하위직종에서 보조업무를 담당하고 있기 때문에 사실상 여성과의 근무 상 지휘, 감독관계에 포함된다고 볼 수 있다. 결국 고용 상 위계구조 속에서 성희롱이 일어난다는 것은 권력문제라고 볼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