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
"만약 당신의 꿈이 목수라면, 무엇부터 시작하시겠어요? 목수를 양성하는 마땅한 직업학교도 없는 상황에서 당신이 목수 일을 배울 수 있는 방법은 많지 않을 겁니다. 현역 목수에게 개인교습을 받거나, 인터넷을 뒤져가며 동호회를 찾거나, 관련 서적을 뒤져보는 것이 아마 할 수 있는 일의 전부가 아닐까요. 다행히 손재주가 있어 혼자 힘으로 목수 일을 할 수 있다고 칩시다. 그러나 나무 재질의 특성을 파악하여 재질에 따라 쓰임새를 정하는 일, 다양한 연장을 적당한 용도에 따라 다루는 일 등은 인터넷의 단편적인 지식으로는 찾을 수 없습니다. 산중 도인을 통해 면면히 내려오는 비법도 아닌 목수 일이 이렇게 어려워서야 우리 사회는 당분간 목수를 배출해 내기 어려울지도 모를 일이죠.
그런데 이런 과정이 목수 지원자에게만 해당될까요? 만약 '목수 되기'라는 방법이 체계적으로 정리되어 있다면 훨씬 짧은 시간과 노력으로 많은 사람이 목수의 꿈을 이룰 수 있을 겁니다. 이렇듯 우리 사회에서 자료는 무슨 일을 시작하는 데 기본적이고 필수적인 듯 보이지만, 필요한 만큼 각 분야에서 체계적으로 정리·축적·가공되어 있지 않습니다.
인권운동도 예외는 아닙니다. 빈약한 재정, 딸리는 일손, 자료에 대한 척박한 인식 탓에 자료는 여전히 사무실에서 뒹구는 '애물단지' 아닌가요? 그럼에도 애타게 자료를 찾고자 하는 사람에게 자료는 마치 '생명수' 같습니다. 예를 들어 감옥 안의 부당한 처우에 맞서 싸우는 수용자에 「감옥법령자료집」은 자신의 권리를 지키는 유일한 힘입니다. 왜냐하면 감옥 안에서 자신을 옭아매는 온갖 장치를 알고 있어야 부당한 처우에 당당히 저항할 수 있기 때문이지요.
그럼에도 인권에 관한 자료는 여전히 일반인에게 접근하기 어려운 영역입니다. 자료를 찾는 많은 사람들의 공통적인 호소는 자신에게 필요한 자료가 없다는 것, 자료를 찾기가 너무 힘들다는 것. 왜 그럴까 곰곰이 생각해보면, 국가기록문서는 일반인에게 접근 자체가 어렵고, 각 분야에서 자료축적이 미흡한 것은 그 동안 자료를 모으고 정리하는 일에 인력과 재정을 투여하지 않았던 탓이라고 생각합니다. 우리 삶 그 자체가 '기록'이라는 축적 과정을 통해 완성되는 '역사'일 텐데, 우리는 그동안 자료를 너무 홀대하여 창고에 처박아두지 않으면 버리는 것을 당연시했습니다. 그 결과 어떤 일을 시작할 때, 이전 사람이 일구어 놓은 성과에서 출발하는 것이 아니라 자료를 모으는 일부터 시작합니다.
자료에는 무형의 축적물뿐만이 아니라 유형의 구조물도 포함되기에 최근 옛 안기부 건물을 허물고 그곳에 유스호스텔을 짓겠다는 서울시의 계획에 저는 경악하고 말았습니다. 재판에서 이길 수 있는 결정적인 증거 자료가 불살라지는 느낌이랄까요. 고대 이집트 사람에게 자료를 모아놓는 도서관이란 '영혼의 집'으로 불렸다고 해요. 도서관이란 기억을 저장하고 지혜를 키우는 곳으로, 과거와 현재, 미래를 잇는 공간으로 이해한 고대 이집트인의 명민함이 그립습니다.
(최은아 님은 인권운동사랑방 상임활동가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