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
"전쟁 속에서 우리가 선 곳은 언제나 피해자의 자리였다. 반세기 전의 태평양전쟁 속의 정신대가, 한국전쟁 당시의 노근리 학살이 그러했다. 진상규명, 공식사과와 배상은 너무나 당연한 우리의 요구였다.
최근 밝혀진 한국군에 의한 베트남 양민학살의 진상은 가히 충격적이다. 가까운 가족 중 두명이나 베트남전에 참전했다. 어릴 적 그들이 가져다준 김치와 고기통조림의 맛도, 베트남 어린아이를 안고 있는 선한 한국군 사진이 실린 엽서도 생생히 기억한다.
양민학살의 진상은 물론, 지난 30여 년간 가해자인 우리의 침묵했던 모습에 또한 전율을 느낀다. 지난 1964년부터 8년 넘는 기간동안 파병된 한국군은 32만여 명. 그중 1만 명 이상이 부상당했고 아직도 이만여 명이 고엽제와 정신착란 후유증으로 고통받고 있다. 전사한 한국군의 수는 5천여 명, 그 수만큼 베트남양민이 학살되었다. 베트남 여기저기에도 수많은 노근리가 있었던 것이다. '승자도 패자도 없는 전쟁'이라는 월남전쟁은 끝났다.
그러나 전쟁을 겪은 수많은 사람들에게 전쟁은 현재진행형이다. 그들의 몸과 마음 속의 전쟁의 잔해는 그대로이다. 전투에 참가한 군인들, 전사한 군인과 그 가족들, 무고하게 죽은 민간인들, 부상의 후유증을 앓는 참전병과 그 가족들 그리고 한국군을 아버지로 둔 '라이 띠이한'들. 그들 모두에게 '아직, 평화는 없다'.
'과거를 덮고 미래를 향해'가 한국과 베트남 정부의 원칙적인 정책이라 한다. 한국이 베트남의 4위 교역국이고, 5위의 투자국이어서, 또한 형식논리상으로 따지면 양민학살의 궁극적 책임이 베트남정부에 있기 때문이라고도 한다. 어"
|